content="f9GeY75LAsgIM2QniqRbyN5ocnUqNcMp4jHQcp6z07g" /> 지방 아파트값 전망(지방 부동산)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의 이해

지방 아파트값 전망(지방 부동산)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지방 아파트 값이 어떻게 될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서울이나 경기권이 현재 6.17부동산 대책으로 혼란을 야기하고 있지만

 

투기과열지구 등에 속해있지 않은 지방 아파트 전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반절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의 다른 반절은 지방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다들 관심 있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 부동산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1. 지방 부동산(아파트)은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과 같다?

 

지방 부동산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지난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과 같아서

 

일본의 지방 아파트의 몰락을 보고 지방 아파트값은 희망이 없다고 

 

아예 단정을 짓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사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때 일괄적으로 일본 지방의 부동산이 모두 몰락했다고

 

단정 짓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일본은 크게 4개의 권역으로 인구가 쏠리고 있으며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이와 반대로 인구 50만 이상의 정령 지정도시라고 하는 곳은 인구가 급격하게 

 

대도시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빠져나간 인구는 외국인이 채우고 있습니다.

 

결국 일본의 사례를 보면 지방에서도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방 부동산을 3가지로 나눠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2. 광역시

 

광역시는 인구가 최소한 100만 명 이상입니다.

 

광역시 중에는 나름대로 경제력이 풍족한 계층이 있으며 그에 따라

 

분명 광역시 내에서도 학군이나 직주근접, 신축수요가 있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광역시시는 지방이 몰락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꾸준한 수요가 

 

확보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광역시에서도 1급지와 2 급지 3 급지가 점점 양극화가 나타날 것이며

 

경제력이 있는 계층들은 1급지에서 거주하고 싶기 때문에 

 

(예를 들어 대구 둔산동, 대구 범어동 등)

 

점점 1급지와 2 급지 이하의 차이는 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광역시는 1급지나 아니면 최상의 2 급지 정도는 살아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3. 수도권과 인접한 도시

 

수도권과 인접한 도시라고 하면 충청, 원주, 천안 , 청주 같은 도시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수도권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구가 감소할 것을 생각합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수도권 규제가 심했을 때 성장했던 도시들입니다.

 

하지만 점점 수도권의 규제가 약해지거나 서울과 경기도 등이 같은 규제에 묶인다면

 

당연히 서울로 점점 인구가 빨려들어갈 것을 생각합니다.

 

예로 원주나 음성 등의 혁신도시를 보면 위치는 수도권 근처 도시지만

 

생활권은 수도권이기 때문입니다.

 

 


4. 기타 지방 도시

 

기타 지방 도시라고 하면 지방에 중간정도의 규모를 가진 도시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런 도시의 집값은 지금은 오를지는 몰라도 결국 길게 보면

 

산업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지방도시면 버티기가 힘들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전라북도의 군산은 조선과 자동차가 버티고 있어서 전북의 3대 도시로 성장하였지만

 

조선과 자동차가 빠져나가자 아파트 값이 엄청 많이 빠졌었습니다.

 

5000만 원 정도의 전세 빌라가 거의 1000만 원에도 들어와 달라고 했었습니다.

 

현재는 다시 어느 정도 회복을 하고 있지만 성장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상태입니다.

 

 


결론입니다.

 

현재 지금 부동산은 대세 상승기라고 보입니다. 

 

서울과 경기도를 포함해서 신고가를 계속 찍어내는 상황에서

 

지금 지방에 투자를 하셔도 어느 정도의 재미를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길게 보았을 때에 지방의 투자는 광역시 > 수도권 인접 도시 > 지방 소도시 순으로

 

투자를 해야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역시에서도 최소 2 급지 이상 정도가 전망이 밝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