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f9GeY75LAsgIM2QniqRbyN5ocnUqNcMp4jHQcp6z07g" /> '부동산의 이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의 이해

토지거래 허가구역 내 매매하는 방법을 알아보아요.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토지거래 허가구역을 매매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갑자기 묶여서 재산권에 손해를 보거나 해당 구역 필지를 구매하고 싶었는데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묶여서 어떻게 매매를 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아서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 1.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사전적 정의는 토지의 급격한 투기적 거래가 생겨날 지역이나 지가 등이 급격히 상승할 것 같은 지역에 대해 투지 자본의 유입을 막고자 설정하는 구역이며, 1979년에 도입된 제도입니다. 국토부장관 또는 시, 도지사가 국토의 이용 및 관리 등에 관한 계획을 위해 5년 이내의 기간을 .. 더보기
불법 농막 단속시작! 불법 농막 벌금은 얼마일까요?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입니다. 오늘은 요즘 정부에서 불법 농막 단속을 시작하고 전수조사를 하여 불법 농막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리는 등 농지법 강화를 필두로 불법 농막 근절을 하고 있는데요 거기에 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불법 농막의 유형과 벌금 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1. 농막의 개념와 현재 상황 농막은 사전적 의미로 농사를 짓는데 편리하도록 논, 밭 근처에 간단하게 지은 집을 말합니다. 또한 농막은 20제곱미터 연면적으로 지어진 농기계 등을 보관 용도로 지어져 있으며 주거용으로 건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사용할수 없으며 창고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합법적으로 건축된 농막은 가설건축물 허가를 득하여 건축되며 정부의 통제하에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더보기
토지분할 최소면적을 알아볼까요? 안녕하세요 !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토지분할 최소면적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토지분할을 할 때에 최소면적 조건이 있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분할을 할 때에 마음대로 토지 분할을 해도 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각종 법률에 의해서 토지 분할 최소면적이 정해져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토지 분할 최소면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건축물이 있는 토지의 분할 건축물이 있는 토지는 분할 최소 면적이 있어서 정해진 면적 이하로는 분할이 불가능합니다. 건축법과 각종 조례로 정해져 있으며 보통은 건축법에 명시된 분할 최소 면적을 준용합니다. 먼저 도시지역은 4가지로 분류가 되는데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입니다. 주거지역 : 60제곱미터 이상 .. 더보기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제가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몇달간 거의 블로그 포스팅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마무리가 얼추 되었기 때문에 다시 한번 블로그를 통하여 제가 생각하고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들을 많은 분들께 소개하고 나누고 싶습니다. 몇개 포스팅은 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댓글도 많이 달아주시고 제가 답변도 못해드린 분들도 있지만 이제 다시 열심히 시작해볼려고 합니다. 다들 응원해주시고 좋게 봐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한번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더보기
부동산 하락신호를 알아차리는 4가지 경우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부동산 하락신호를 알아차리는 4가지 경우입니다. 현재는 부동산이 엄청나게 오르고 있지만 언제까지나 부동산이 오를 수는 없습니다. 언젠가는 조정기나 하락기를 맞이할 텐데 과연 이러한 조정기나 하락기에 부동산 하락신호를 잘 캐치하여 대응을 하는 것도 중요하기에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1. 전세가는 유지되는데 매매가만 오르는 경우 부동산 상승기에는 전세가와 매매가가 같이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전셋값은 철저히 실수요 중심이며 전셋값이 오른다는 것은 이 정도의 돈을 지불하여도 이 동네나 아파트에 살아야 한다는 의미를 뜻합니다. 하지만 전세가는 유지가 되는데 매매가만 오른다면 의심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매매가만 .. 더보기
전세값 상승 이유 (임대차 3법 이후 미래 예상)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현재 임대차 3 법 이후에 전세의 매물이 말라가며 그나마 나오는 전세 매물들은 값이 엄청나게 상승하고 있는데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와 임대차 3 법 이후 어떻게 대한민국의 주택시장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1. 임대차 3법 전부터 전세는 종말을 고하고 있었다. 대한민국의 전세제도는 전 세계적으로 한국에만 있는 특이한 부동산 제도입니다. 서민들은 목돈 마련을 위해 전세로, 돌려받을 전세금을 내놓고 집주인은 전세값을 통해 적은 레버리지로 집을 사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집주인은 집값이 오를 것에 배팅을 한 것이고 전세는 집값이 보합 또는 하락에 배팅을 하여 이 중간 지점에 정확히 이해관계가 .. 더보기
임대차 3법 전세를 월세로 계산하는 법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현재 임대차 3 법으로 인해 전세가 귀해지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전세의 종말이 오고 있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습니다. 임대인의 입장에서는 저금리인 현재 상황에서 전세로 세를 놓기보다는 월세로 세를 놓아서 안정적으로 현금이 들어오는 것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만 있는 특이한 전세제도와 상충을 하면서 월세와 전세는 같이 공존을 하고 있었지만 임대차 3 법으로 인해 점점 전세가 없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였을 때 어떠한 계산이 필요한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 1. 전월세 전환율이란? 예를 들어 전세보증금의 5%를 올렸을 경우에 전세가가 4억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일반적인 전세의 인상액 5%는.. 더보기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 절차에 대해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부동산 특별조치법 이후에 부동산 소유권 이전등기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부동산소유권 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이후 절차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지 부동산 특별조치법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소유권 이전등기도 마찬가지이므로 관심 있게 읽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1. 부동산 소유권 이전등기에 필요한 서류 소유권 이전등기에 필요한 서류는 크게 매도인의 서류와 매수인의 서류 2가지가 필요하며 기본적으로 10가지가 넘는 서류가 각각 발급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1) 매도인이 준비해야할 서류 1. 등기필정보 2. 인감증명서 ( 부동산 매도용 ) 3. 인감도장 4. 주민등록 초본 1통 ( 3개월 내에 발행한 초본 ) .. 더보기